맨위로가기

동굴 다이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굴 다이빙은 물속에서 동굴, 동굴(cavern), 또는 광산을 탐험하는 활동이다. 오버헤드 환경, 항해의 어려움, 시야 불량, 수류, 좁은 공간 등의 위험 요소로 인해 가장 위험한 다이빙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동굴 다이빙은 자연광이 닿는 구역인 케이번 다이빙과 자연광이 닿지 않는 동굴 다이빙으로 구분되며, 침투 다이빙과 유사한 절차를 따른다. 가이드라인, 가스 계획 및 관리, 부력 조절 등의 기술이 중요하며, 훈련, 가이드라인 준수, 수심 규칙 준수, 호흡 가스 관리, 라이트 사용 등의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한다. 훈련 및 자격증 제도가 있으며, 다양한 훈련 기관에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동굴 다이빙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탐험, 조사, 지도 제작 등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빙 - 스쿠버 장비
    스쿠버 장비는 자가용 수중 호흡 장치로, 다이버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방회로식과 재호흡기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고, 다이빙 실린더, 레귤레이터, 하네스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이빙 - 테크니컬 다이빙
    테크니컬 다이빙은 심해, 오버헤드 환경, 장시간 잠수 등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의 한계를 넘어서는 고난도 스쿠버 다이빙으로, 심해 잠수, 감압 정지, 혼합 기체 사용, 리브리더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지며 높은 기술과 안전 절차, 위험에 대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 잠수 - 스쿠버 장비
    스쿠버 장비는 자가용 수중 호흡 장치로, 다이버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방회로식과 재호흡기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고, 다이빙 실린더, 레귤레이터, 하네스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잠수 - 테크니컬 다이빙
    테크니컬 다이빙은 심해, 오버헤드 환경, 장시간 잠수 등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의 한계를 넘어서는 고난도 스쿠버 다이빙으로, 심해 잠수, 감압 정지, 혼합 기체 사용, 리브리더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지며 높은 기술과 안전 절차, 위험에 대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동굴 다이빙
지도
기본 정보
활동 분야수중 다이빙
난이도고난이도
필요한 자격증동굴 다이빙 자격증
고급 수중 다이빙 자격증
필요 장비다이빙 마스크

스쿠버 장비
다이빙 컴퓨터
보조 공기 공급 장치
다이빙 나이프
다이빙 릴
다이빙 라인
수중 스쿠터
잠수복
후드
장갑
라이트
위험 요소
익사익사 위험
시야 감소
길을 잃을 가능성
장비 고장
다른 위험 요소천장 붕괴
감압병
공황 발작
저체온증
부상
기절
추가 위험 요소수중생물
좁은 공간으로 인한 폐쇄 공포증
복잡한 동굴 구조
기술적 고려 사항
안전 규칙3분의 1 규칙
가이드라인 사용
버디 시스템
적절한 훈련
올바른 장비
적절한 가스 관리
동굴 다이빙 교육
교육 기관NAUI
PADI
SSI
GUE
IANTD
TDI
교육 내용특수 장비 사용법
방향 탐색 기술
긴급 상황 대처법
수중 환경 관리
다른 정보
기타 정보매우 위험한 스포츠
숙련된 다이버만이 참여해야 함
동굴은 예측할 수 없는 환경
사전 지식과 훈련 필요

2. 환경

동굴 다이빙 환경은 크게 동굴(Cave)케이번(Cavern)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동굴은 자연 채광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다이빙이고, 케이번은 자연 채광이 닿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다이빙이다.

수중 동굴은 잠수부, 생물학자, 고생물학자, 동굴학자 등 다양한 사람들을 매료시킨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수몰된 동굴 통과
  • 동굴 관찰 및 부유감
  • 동굴 식물 및 동굴 생물 탐색, 관찰
  • 테크니컬 다이빙의 일환

2. 1. 동굴(Cave)

레크리에이션 동굴 다이빙에서 수중 동굴 환경은 수중에서 탐험할 수 있는 동굴의 일부를 포함한다. 레크리에이션 동굴 다이빙은 자연 채광이 미치지 않는 지하에서 다이빙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동굴 다이빙과 동굴(cavern) 다이빙을 구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광산과 같이 인공적으로 형성된 지하 공간은 다이버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동굴이라고 불리지 않지만, 이러한 곳에서의 다이빙 활동은 다이버 훈련 기관에 의해 훈련 및 자격 인증 목적으로 동굴 다이빙으로 분류된다.[1] 수중 동굴은 잠수부, 생물학자, 고생물학자, 동굴학자 등 다양한 사람들을 매료시킨다.[1]

2. 2. 케이번(Cavern)

Cavern영어은 자연 채광이 닿는 수중 동굴 구역을 말한다. 출구가 보이고 수면까지의 거리가 짧아 길을 잃을 위험이 적고, 필요한 장비가 줄어든다. 낮은 위험도와 기본적인 장비 요구 사항을 근거로 테크니컬 다이빙과는 달리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활동으로 정의된다.

3. 절차

피콕 스프링스 동굴 시스템(Peacock Springs Cave System) 입구


동굴 다이빙 절차는 침투 다이빙에 사용되는 절차와 많은 공통점이 있다. 개방수역 다이빙 절차와의 차이점은 주로 항해, 가스 관리, 밀폐된 공간에서의 운영, 그리고 다이빙 중 상당 부분 동안 다이버가 수면으로 직접 상승할 수 없다는 제약에 중점을 둔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동굴 다이빙은 수면으로 나갈 수 있는 호흡 가능한 공기가 없는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호흡 가스가 떨어지기 전에 출구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다이빙 팀과 침수된 동굴 부분 외부 지점 사이에 지속적인 가이드라인을 사용하고, 가스 공급을 주의 깊게 계획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보장된다.

감압 절차는 동굴 다이버가 일반적으로 동굴 안팎으로 매우 엄격하게 제한되고 정확하게 정의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출구를 만들 때 가이드라인을 따라 임시로 보관된 드롭 실린더와 같은 장비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일부 동굴에서는 다이빙 경로를 따라 동굴의 깊이 변화가 감압 깊이를 제한하고, 가스 혼합물과 감압 일정을 이를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

동굴 다이빙의 필수적인 절차는 가이드 라인을 이용한 항법이다. 여기에는 라인 설치 및 표시, 라인 따라가기 및 라인 표식 해석, 엉킴 방지, 엉킴 복구, 라인 유지 및 수리, 라인 찾기, 간격 뛰어넘기, 라인 회수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작업은 시야가 전혀 없는 경우, 완전한 어둠 속, 좁고 제한된 공간 또는 이러한 조건들이 결합된 상황에서 수행되어야 할 수도 있다.

안전한 동굴 다이빙을 위해 인지해야 할 6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훈련: 훈련 범위 내에서의 다이빙은 안전한 동굴 다이빙에 필수적이다. 훈련은 동굴 다이빙에 필요한 기술을 세분화하여 진행되며, 부분적인 훈련은 개방된 환경에서 진행된 후, 어두운 곳, 동굴 등으로 점차 난이도가 높은 환경에서 진행된다.
  • 가이드라인: 동굴 입구부터 팀 리더는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다이빙한다.
  • 수심 관리: 동굴 다이버는 적절한 수심 관리를 해야 한다.
  • 호흡 가스 관리: 공기 소모 및 감압 관리를 한다.
  • 광원 관리: 모든 동굴 다이버는 3개의 라이트를 장비한다. 하나는 주된 라이트이고, 다른 두 개는 예비 라이트이다.
  • 버디 시스템: 두 명이 한 팀을 이루어 서로의 안전을 확인하는 것은 많은 이점이 있다. 서로의 안전을 확인하는 파트너를 버디라고 부른다.

3. 1. 가이드라인

동굴 다이빙의 핵심 절차는 지속적인 가이드라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은 영구 라인과 임시 라인으로 구분되며, 라인 마커를 통해 출구 방향을 표시한다.

  • 영구 라인: 입구/출구 근처에서 시작하는 메인 라인과 사이드 라인(분기 라인)이 있으며, 가장 가까운 출구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가 되어 있다.
  • 임시 라인: 탐사 라인과 점프 라인이 해당된다.


가이드라인 설치, 회수, 라인 찾기, 라인 파손 수리, 점프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 라인 설치: 다이버에게 걸리지 않도록 라인을 (약간의 장력을 가하면서 풀어 나가며) 진행 방향으로 풀어서 사이에 상당히 직선으로 라인이 놓이도록 한다. 모든 라인을 볼 수 있고 닿을 수 있도록, 시야가 좋든 나쁘든 따라갈 수 있도록 라인을 배치하고, 라인 트랩을 피하고, 라인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장소에 라인을 충분히 고정한다.
  • 배치 만들기: 가이드라인이 설치되는 동안 고정하고, 주요 및 보조 고정 장치 선택.
  • 임시 라인: 영구 라인이 없는 동굴의 일부로 들어갈 때 설치하고 나올 때 릴로 회수하는 라인.
  • 영구 라인: 더 두껍고 잘 보이며, 더 강하고, 마모에 더 강하며, 더 안전하게 고정되어 다른 다이버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라인. 라인이 끊어졌을 때 다른 쪽 끝을 찾고 재연결하기 쉽도록 더 짧은 간격으로 배치에 고정될 수 있다. 출구 시에는 회수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표시가 되어 있다.
  • 골드 라인: 밝은 노란색의 내구성이 뛰어난 영구 가이드 라인이며, 케르만틀 구조로 출구로 이어진다. 이 색상은 라인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선택되었으며, 동시에 매우 잘 보이고, 더 내구성 있는 라인은 촉감으로도 식별에 도움이 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동굴 다이빙 전문가들 사이에서 골드 라인을 투어에 사용되는 동굴 지역에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떤 경우에는 골드 라인이 자연적으로 밝게 빛나는 구역까지 이어지지만, 다른 경우에는 무능하고 장비가 부족한 다이버들이 라인을 따라 동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어두운 구역 내부에서 시작된다.
  • 라인 표시: 영구 라인은 가장 가까운 출구 방향을 나타내고, 다이빙 팀이 지나갔지만 아직 돌아오지 않은 곳을 표시하기 위해 라인 마커에 라인을 고리로 만들어 표시하며, 방향 마커가 올바른 방향을 가리키고 모든 마커가 충분히 안전하게 부착되면서 임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 방향 마커: 라인을 따라 출구로 가는 길을 표시하는 동굴 화살표.
  • 개인 마커 (쿠키): 다이버가 특정 지점을 지났지만 아직 돌아오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임시 마커. 특히 그룹이 영구 라인을 벗어나거나 보조 영구 (지선) 라인으로 점프할 때 사용된다. 개인 방향 마커는 소유자가 그 방향으로 갔음을 나타내기 위해 라인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다이버들이 분리된 후 한 명이 라인을 찾았지만 다른 다이버들을 찾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출구로 나가기로 결정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 라인 따라가기: 특히 어둠 속과 시야가 좋지 않은 곳에서 라인을 안내로 사용하여 동굴 밖으로 나가는 기술.
  • 라인 찾기: 동굴 다이빙 절차는 가이드 라인을 잃어버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지만, 라인을 잃어버릴 수 있으며, 라인 없이 길을 찾을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라인을 잃어버리는 것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간주된다. 다이버는 실트가 심한 경우, 완전한 어둠 속, 팀의 다른 다이버와의 접촉 상실 등 모든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라인을 다시 찾는 방법에 능숙해야 한다. 탐색 방법은 다이버가 라인 주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탐색 라인을 고정하여 탐색을 시작하는 위치를 고정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다이버가 라인 방향에 수직인 동굴 단면을 따라 느껴가며 시작점으로 돌아오면 가이드라인이 직접 발견되거나 탐색 라인 루프 내에 있어야 하지만, 동굴의 모양과 제한된 호흡 가스 공급으로 인해 이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므로 이것조차도 보장할 수 없다.
  • 라인 파손 수리: 시야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매듭을 묶을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파손된 라인의 다른 쪽 끝을 찾아야 한다. 동굴로 들어갈 때 라인 파손은 불편한 일이지만, 다른 쪽 끝을 찾을 수 없더라도 다이버들은 여전히 길을 찾아 나올 수 있다. 나올 때 라인 파손은 가스 공급이 제한적이고 다른 쪽 끝을 찾는 확실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다른 쪽 끝을 찾을 때까지 생명을 위협하는 비상 상황이다.
  • 지선으로 점프하기: 풀리지 않을 가능성이 적지만 귀환 시 신속하게 풀 수 있는 방식으로 영구 라인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점프 라인 끝의 루프를 영구 라인 주위와 릴 위로 지나가게 하는 것이 표준 방법이다. 루프 끝에 달린 태그는 빠르게 풀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방법은 다른 다이버들이 메인 라인을 따라가면서 실수로 풀 수 없다.
  • 임시 라인 회수: 출구 시 마지막 다이버가 수행하여 다른 다이버들이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도 라인을 잃을 위험 없이 동굴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릴 조작자를 위해 고정 장치를 풀어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비상 출구 시에는 릴과 라인을 나중에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일시적으로 버릴 수 있다. 릴 조작자는 라인에 약간의 장력을 유지하고 감아들이는 동안 릴 너비에 걸쳐 라인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한다. 라인 앞쪽에 있는 다이버들은 라인 장력과 감아들이는 동안 라인의 작은 움직임을 통해 뒤에 있는 다른 사람의 존재를 느낄 수 있다.


가이드라인을 잃어버리는 것은 생명과 직결되는 긴급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대처 능력이 필수적이다.

3. 2. 가스 계획 및 관리

동굴 다이빙에서 가스 계획은 다이빙 계획의 중요한 부분으로, 계획된 다이빙 프로파일에 필요한 가스의 양과 혼합 비율을 계산하고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과정은 다이버가 안전하게 수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호흡용 가스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스 계획에는 다음 사항들이 포함된다.

  • 다이빙 깊이에 적합한 호흡 가스를 선택한다.
  • 가스를 편리하게 운반하거나 경로를 따라 보관하기 위한 스쿠버 구성을 선택한다.
  • 다이빙에 필요한 , , 감압 가스를 포함한 가스량을 예측한다.
  • 예상되는 비상 상황에 대비한 추가 가스량을 계산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다이버의 호흡량이 증가하고 이동 속도가 느려져 가스 소비량이 늘어난다.
  • 필요한 가스를 담을 실린더를 선택하고, 각 실린더의 부피와 압력이 충분한지 확인한다.
  • 각 실린더에 필요한 가스 압력을 계산한다.
  • 다이빙 프로파일의 적절한 지점에서 가스 혼합물의 임계 압력을 결정(가스 매칭)한다.


주 호흡 장비는 개방 회로 스쿠버나 재호흡기가 될 수 있으며, 비상 장비 또한 마찬가지이다. 비상 가스는 팀원 간에 공유하거나 각자 휴대할 수 있지만, 모든 다이버는 다음 비상 가스 공급원까지 충분한 가스를 가지고 비상 탈출할 수 있어야 한다.

가스 관리는 가스 실린더의 혼합, 충전, 분석, 표시, 보관, 운반, 그리고 다이빙 중 호흡 가스 모니터링 및 전환, 다른 다이버에게 비상 가스 제공 등을 포함한다. 주요 목표는 모든 다이버가 현재 깊이에 적합한 가스를 충분히 호흡하고, 사용 중인 가스 혼합물과 감압 의무, 산소 중독 위험을 인지하는 것이다.

3분의 1 법칙은 다이버가 다이빙 계획을 세울 때 사용하는 경험칙이다. 이 법칙은 수면으로 직접 상승할 수 없는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가스 공급량의 3분의 1은 입수, 3분의 1은 출수, 3분의 1은 비상용으로 사용한다. 호흡률이 다르거나 가스 용량이 다른 버디와 함께 다이빙할 때는 버디의 가스 공급량의 3분의 1을 기준으로 조정해야 한다.

3. 3. 기타 절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완전한 어둠 속에서 길을 찾아야 한다. 가스 공급 문제 해결, 촉각 및 광 신호를 사용한 의사소통, 좁은 공간에서의 호흡 가스 제공 및 수신 등의 기술도 중요하다.

  • 라인 찾기: 가이드라인을 잃어버리는 것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다이버는 실트가 심하거나, 완전한 어둠 속이거나, 팀의 다른 다이버와 접촉을 잃는 등 예상되는 상황에서 라인을 다시 찾는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탐색 방법은 다이버가 라인 주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탐색 라인을 고정하여 시작점을 확보해야 한다.
  • 라인 파손 수리: 시야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매듭을 묶고, 파손된 라인의 다른 쪽 끝을 찾는 능력이 필요하다. 동굴로 들어갈 때 라인 파손은 불편하지만, 나올 때는 가스 공급이 제한적이므로 생명을 위협하는 비상 상황이 된다.
  • 지선으로 점프하기: 풀리지 않을 가능성이 적지만 귀환 시 신속하게 풀 수 있는 방식으로 영구 라인에 고정한다. 점프 라인 끝의 루프를 영구 라인 주위와 릴 위로 통과시키는 것이 표준 방법이다.
  • 임시 라인 회수: 출구 시 마지막 다이버가 수행하여 다른 다이버들이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도 라인을 잃을 위험 없이 동굴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비상 출구 시에는 릴과 라인을 나중에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일시적으로 버릴 수 있다.


가이드라인을 잃어버린 경우, 다이버는 다음 절차를 따라야 한다.

1. 상황을 안정시키고 더 이상 길을 잃지 않도록 가장 가까운 고정 지점에 검색 라인을 고정한다.

2. 라인을 마지막으로 보았을 때의 가이드라인 방향, 다이버가 헤엄치던 방향, 깊이 등을 고려하여 라인의 위치를 추정한다.

3. 추정되는 라인 위치를 향해 헤엄치면서 검색 라인을 풀고, 시각적 또는 촉각으로 라인을 찾는다.

4. 검색에 실패하면 고정 지점으로 돌아가 다른 방향으로 다시 시도한다.

다른 다이버를 찾지 못하고 라인을 찾은 경우, 다이버는 자신의 검색 릴을 가이드라인에 고정하고 개인 방향 표시기를 사용하여 진행 방향을 표시한다.

버디 또는 팀과의 접촉은 잃었지만 가이드라인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 탐색을 시작하기 전에 출구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시기를 가이드라인에 부착한다. 탐색 방향은 동굴의 배치와 실종된 다이버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탐색팀은 자신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어둠 속에서 탐색할 때는 주기적으로 조명을 꺼서 실종된 다이버의 조명을 더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많은 동굴 다이버들은 안전한 동굴 다이빙을 위해 다음과 같은 6가지 원칙을 인지하고 있다.

  • 훈련: 훈련 범위 내에서의 다이빙은 안전한 동굴 다이빙에 필수적이다. 부분적인 훈련은 개방된 환경에서 진행된 후, 어두운 곳, 동굴 등으로 점차 난이도가 높은 환경에서 진행된다.
  • 가이드라인: 동굴 입구부터 팀 리더는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다이빙한다.
  • 수심 관리: 동굴 다이버는 적절한 수심 관리를 해야 한다.
  • 호흡 가스 관리: 공기 소모 및 감압 관리를 한다.
  • 광원 관리: 모든 동굴 다이버는 3개의 라이트를 장비한다. 하나는 주된 라이트이고, 다른 두 개는 예비 라이트이다.
  • 버디 시스템: 두 명이 한 팀을 이루어 서로의 안전을 확인하는 것은 많은 이점이 있다. 서로의 안전을 확인하는 파트너를 버디라고 부른다.

4. 기술

그림 리퍼의 그림과
동굴 입구 근처의 경고 표지


동굴 다이빙에는 일반적인 스쿠버 다이빙 기술 외에도 특수한 기술이 필요하다.

  • 라인 관리 기술: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완전한 어둠 속에서 길을 찾는 것은 동굴 다이빙에서 매우 중요하다. 릴을 사용한 가이드라인 설치 및 회수, 고정, 간격을 넘거나 실트가 낀 상태에서 분실된 가이드라인을 찾는 데 점프 라인 사용, 출구로 이어지는 가이드라인을 따라가는 방향 식별, 가이드라인 파손 대처 기술 등이 필요하다.
  • 가스 공급 문제 해결: 밀폐된 공간, 시야 불량, 어둠, 대기까지의 먼 거리 등 동굴 다이빙 환경의 특성상 가스 공급 문제 발생 시 대처가 복잡하므로 관련 비상 기술이 필요하다.
  • 의사소통: 촉각 및 광 신호를 사용한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하다.
  • 비상 호흡 가스 제공 및 수신: 좁은 공간에서 비상 호흡 가스를 주고받는 기술이 필요하다.

4. 1. 부력 및 자세 조절

대부분의 수중 다이빙 기술은 동굴 다이빙에도 적용되지만, 환경과 선택한 장비 구성에 따라 특정한 기술이 추가로 필요하다.

  • 실트 퇴적물이 있는 지역에서 시야를 확보하려면 부력 조절, 자세 제어 및 핀 동작 기술이 좋아야 한다. 회전할 공간이 없는 제한된 공간에서 뒤로 나가기 위해 역킥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유용하다.
  • 핀 동작 기술에는 위아래로 향하는 와류를 피하고 바닥의 실트나 천장의 느슨한 물질을 방해할 가능성이 적은 개구리 킥, 좁은 공간에 더 적합한 버전인 개량된 개구리 킥, 아래로 향하는 와류를 최소화하는 플러터 킥의 버전인 개량된 플러터 킥, 다이버의 긴 축을 따라 뒤로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발쪽으로 추력을 생성하는 백킥, 그리고 아래 다리와 발목 움직임을 사용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다이버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헬리콥터 턴 등이 있다.

5. 위험성

동굴 다이빙은 가장 위험한 다이빙 중 하나로 여겨지며, 많은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동굴 다이빙은 일종의 침투 다이빙으로, 비상 상황 시 동굴 천장 때문에 수직으로 수면으로 올라갈 수 없어, 다시 나올 때까지 전체 거리를 헤엄쳐 나와야 한다. 또한 동굴 시스템을 통한 수중 항해는 어려울 수 있으며, 출구는 상당한 거리에 있을 수 있으므로 다이버는 여정을 위한 충분한 호흡 가스를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다이빙이 깊을 수 있어 잠재적인 심해 다이빙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케이번 다이빙은 자연광이 닿는 범위 내에서(보통 30m 이내) 이루어지고, 침투 거리도 61m을 넘지 않지만, 동굴 다이빙은 햇빛이 닿지 않는 수천 피트 깊이까지 들어갈 수 있다. 물이 맑더라도 인공 광원이 없으면 아무것도 볼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된다.

동굴 다이빙은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스포츠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인식은 동굴에서 사망한 대부분의 다이버들이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았거나 환경에 적합한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과장되었을 수 있다. 일부 동굴 다이버들은 경험, 훈련 및 장비 비용에 의해 부과되는 훨씬 더 큰 장벽으로 인해 동굴 다이빙이 레크리에이션 다이빙보다 통계적으로 훨씬 더 안전하다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에 대한 확실한 통계적 증거는 없다.

모든 동굴 다이빙 사망자를 나열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전 세계 데이터베이스는 없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그러한 부분적인 통계는 수용된 프로토콜을 따르고 동굴 다이빙 커뮤니티에서 허용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장비 구성을 사용하는 동안 사망한 다이버가 거의 없음을 시사한다. 이 규칙에 대한 예외적인 경우는 매우 드물며 일반적으로 특이한 상황이 있었다.

5. 1. 주요 위험 요소

동굴 다이빙은 가장 어렵고 위험할 수 있는 다이빙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여러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 오버헤드 환경: 비상 상황 발생 시 동굴 천장 때문에 곧바로 수면으로 올라갈 수 없으므로, 들어온 길을 따라 헤엄쳐 나와야 한다.
  • 항해의 어려움: 복잡한 동굴 시스템 내에서 수중 항해는 어려울 수 있으며, 출구가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어 다이버는 충분한 호흡 가스를 확보해야 한다.
  • 시야 불량: 시야는 매우 좋을 수도 있지만, 때로는 매우 나빠질 수도 있다. 특히 모래, 진흙, 점토, 실트 등이 휘저어지면 수중 시야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이버들은 가이드라인에 의존하여 길을 찾는다.
  • 수류: 동굴의 물은 강한 흐름을 가질 수 있다. 샘(물이 솟아나는 곳)은 물이 밖으로 흘러나가는 유출류를, 사이펀(지상의 강이 지하로 들어가는 곳)은 물이 안으로 들어오는 유입류를 가진다. 어떤 동굴은 유출류와 유입류가 모두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도 한다. 유입류는 다이버를 낯선 곳으로 밀어낼 수 있어 위험하고, 유출류는 다이버가 왔던 길로 되돌아가도록 돕는다.
  • 협소한 공간: 좁은 통로는 다이버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장비 손상 위험을 높인다.
  • 심해 다이빙: 동굴 다이빙은 깊은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심해 다이빙의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굴 다이빙은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스포츠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았거나 장비가 부족한 다이버들이 사망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과장된 측면도 있다.

5. 2. 기타 위험 요소

동굴 다이빙은 예측 불가능한 수류 변화, 유독 가스, 동굴 붕괴 등의 위험 요소도 가지고 있다. 동굴의 물은 강한 흐름을 가질 수 있는데, 대부분의 동굴은 샘 또는 사이펀이다. 샘은 물이 지구에서 나와 육지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유출류를 가지고 있고, 사이펀은 지상의 강이 지하로 들어가는 유입류를 가지고 있다. 일부 동굴은 유출류가 있는 터널과 유입류가 있는 터널이 복잡하게 섞여 있다. 유입류는 다이버를 낯선 공간으로 이동시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반면, 유출류는 다이버가 이전에 있던 곳으로 이동하게 하여 출구를 빠르게 만든다. 또한 동굴 내부에 화산 가스와 같은 유독 가스가 고여 있을 수 있으며, 드물지만 동굴 붕괴의 위험도 존재한다.

6. 안전

동굴 다이빙은 침투 다이빙의 한 종류로, 비상 상황 시 수직 상승이 불가능하여 왔던 길로만 탈출해야 하는 가장 위험한 다이빙 중 하나이다. 수중 항해는 복잡하고 출구가 멀 수 있어 충분한 호흡 가스가 필요하며, 심해 다이빙 위험도 존재한다.

시야는 매우 좋은 상태에서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까지 다양하며, 한 번의 다이빙 중에도 급변할 수 있다. 햇빛이 없는 깊은 곳에서는 인공 광원 없이는 아무것도 볼 수 없다. 모래, 진흙 등으로 시야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어 가이드라인에 의존해야 한다.

동굴 물은 강한 흐름을 가질 수 있으며, 샘이나 사이펀 형태가 많다. 일부 동굴은 유출류와 유입류가 모두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동굴 다이빙은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스포츠 중 하나로 여겨졌으나, 이는 훈련 부족 및 부적합 장비 사용 다이버들의 사망으로 인한 과장된 측면이 있다. 경험, 훈련, 장비 비용의 장벽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더 안전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대부분의 사망 사고는 가스 부족, 길 잃음, 시야 악화, 라이트 고장 등이 원인이다. 드물게 장비 고장, 얽힘, 부상, 부적절 가스, 강한 흐름 등이 사고를 유발한다.

메인 라인을 따라 사이드마운트 실린더를 착용한 동굴 다이버들


셰크 엑슬리(Sheck Exley)는 1979년 저서 ''Basic Cave Diving: A Blueprint for Survival''에서 안전을 위한 다섯 가지 규칙을 제시했다.

| 규칙 | 설명 |

|---|---|

| 훈련 | 자신의 훈련 범위를 초과하지 않고, 단계별 훈련을 받는다. |

| 가이드라인 | 동굴 입구부터 연속적인 가이드라인을 유지한다. |

| 수심 관리 | 계획된 수심, 장비, 호흡 가스의 적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

| 호흡 가스 관리 | '3분의 1 규칙'에 따라 충분한 가스를 확보한다. |

| 광원 관리 | 최소 세 개의 독립적인 광원을 소지한다. |

최근에는 솔로 다이빙, 무능한 파트너와의 다이빙, 동굴 내 촬영, 복잡한 다이빙, 대규모 그룹 다이빙 등과 관련된 새로운 위험 요소도 고려된다. 트라이믹스 등 혼합 가스 사용은 오류 여지를 줄이지만, 부적절 가스 사용 및 분석 오류로 인한 사고도 발생한다.

동굴 다이빙 커뮤니티는 수중 동굴 위험성 교육을 위해 노력하며, 많은 동굴 입구에 저승사자 경고 표지판을 설치했다. 훈련받지 않은 다이버의 동굴 진입을 막기 위해 "라이트 금지 규칙"을 시행하는 곳도 있다.

초기 사고의 90%는 훈련받지 않은 다이버에게서 발생했지만, 2000년대부터는 훈련받은 다이버 사고가 80%로 증가했다. 기술 발전으로 다이버들이 훈련 한계를 넘어 탐험에 나서면서 사고가 증가했으며, 2011년 연간 사망자 수는 3배 증가, 2012년에는 20명을 넘었다.

국제 다이빙 연구 및 탐험 기구(IDREO)는 안전 인식 제고를 위해 매년 "동굴 다이버 안전 회의"를 개최한다.

6. 1. 안전 수칙

안전을 중시하는 동굴 다이버는 자신의 훈련 범위를 의도적으로 초과하지 않으며, 동굴 다이빙은 단계별로 교육하고 각 단계는 동굴 다이빙의 복잡한 측면에 집중한다. 훈련 단계마다 실제 동굴 다이빙 경험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비상시 침착하게 대처하고 절차를 적용할 수 있는 자신감, 운동 기술, 반사 신경을 개발한다.

다이빙 팀 리더와 동굴 입구 외부의 고정 지점 사이에는 항상 연속적인 가이드라인을 유지한다. 가이드라인 설치 시에는 라인에 적절한 장력이 있는지, 라인 트랩에 걸리지 않는지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묶어 경로를 পরিষ্কার하게 만든다. 실트 아웃 발생 시 다이버는 라인을 따라 입구로 돌아갈 수 있다.

동굴 다이버는 계획된 수심, 사용 장비 및 호흡 가스의 적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장된다.

호흡 가스는 다이버가 오버헤드 환경에서 벗어날 때까지 충분해야 한다. '3분의 1 규칙'에 따라 초기 가스 공급량의 3분의 1은 진입, 3분의 1은 탈출, 3분의 1은 비상시 다른 팀원을 위해 사용한다. 영국에서는 3분의 1 규칙을 따르면서도 별도 공기 시스템 고갈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 3분의 1 규칙은 공기 시스템 손실 스트레스나 다이버 간 탱크 크기 차이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각 다이빙에 충분한 예비량을 계산해야 한다.

각 다이버는 최소 세 개의 독립적인 광원을 소지해야 하며, 광원 기능 상실 시 (작동 광원이 세 개 미만일 경우) 다이빙을 중단하고 즉시 탈출해야 한다.

두 명이 한 팀을 이루어 서로의 안전을 확인하는 버디 시스템은 여러 이점이 있다.

7. 훈련 및 자격증

동굴 다이빙 훈련에는 장비 선택 및 구성, 가이드라인 규약 및 기술, 가스 관리 규약, 통신 기술, 추진 기술, 비상 관리 규약 및 심리 교육이 포함된다. 동굴 다이버 훈련은 또한 위험 관리 및 동굴 보존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부분의 훈련 시스템은 점진적인 교육 및 자격 인증 단계를 제공한다.


  • 동굴 입구 훈련: 오버헤드 환경에 진입하는 데 필요한 기본 기술을 다룬다. 훈련은 가스 계획, 탁한 환경을 다루는 데 필요한 추진 기술, 릴과 취급, 그리고 통신으로 구성된다. 동굴 다이버 자격을 취득하면 동굴 또는 동굴 자격을 갖춘 "버디"와 함께 동굴 다이빙을 수행하고 동굴 다이빙 훈련을 계속할 수 있다.
  • 동굴 훈련 입문: 동굴 훈련 중에 배운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동굴 구역을 넘어 침투하고 영구 가이드라인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훈련을 포함한다. 동굴 입문 자격을 취득하면 다이버는 단일 실린더의 1/3 또는 기본 동굴 자격의 경우 이중 실린더의 1/6으로 제한되는 동굴 안으로 더 깊이 침투할 수 있다. 동굴 입문 다이버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항해 자격이 없다.
  • 견습생 동굴 훈련: 입문에서 완전한 자격 인증으로의 전환 역할을 하며, 영구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동굴 깊숙이 침투하는 데 필요한 훈련과 사이드라인에 대한 제한적인 노출을 포함한다. 훈련은 더 긴 다이빙에 사용되는 복잡한 다이빙 계획 및 감압 절차를 다룬다. 견습생 자격을 취득하면 다이버는 이중 실린더의 1/3으로 제한되는 동굴 안으로 더 깊이 침투할 수 있다. 견습생 다이버는 다이빙 중에 단일 점프 또는 갭(메인라인의 두 섹션 또는 메인라인과 사이드라인 사이의 가이드라인의 중단)을 수행할 수 있다. 견습생 다이버는 일반적으로 1년 안에 완전한 동굴 자격을 취득하거나 견습생 단계를 반복해야 한다.
  • 완전 동굴 훈련: 기본 훈련의 최종 단계이며, 영구 가이드라인과 사이드라인을 모두 사용하여 동굴 깊숙이 침투하는 데 필요한 훈련을 포함하며, 감압을 사용하여 더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시스템 깊숙이 복잡한 다이빙을 계획하고 완료할 수 있다. 동굴 자격을 취득하면 다이버는 이중 실린더의 1/3으로 제한되는 동굴 안으로 더 깊이 침투할 수 있다. 동굴 다이버는 다이빙 중에 여러 번의 점프 또는 갭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
  • 동굴 측량 및 매핑 기술에 대한 추가 훈련을 받을 수 있다.


다양한 다이빙 훈련 및 자격 인증 기관에서 CMAS가 정의한 세 가지 동굴 영역을 기반으로 동굴 다이버를 위한 훈련을 제공한다. 일부 기관에서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버(영역 1)를 위한 케이번 다이빙 훈련을 제공한다. 동굴 다이빙은 상당한 위험을 수반하므로 독학을 권장하지 않는다.

영역CMASGUEANDINACDNAUINSS-CDSPADITDI[1]
케이번 다이버
(영역 1)
케이브 다이버 I케이번 다이버, 레벨 2케이번 다이버케이번 다이버케이번 다이버케이번 다이버케이번 다이버
케이브 다이버
(영역 2)
케이브 다이버 II케이브 다이버 레벨 1케이브 다이버, 레벨 1동굴 다이빙 입문케이브 다이버 레벨 I베이직/입문 케이브 다이버동굴 다이빙 입문
케이브 다이버 레벨 2동굴 다이빙 수습수습 케이브 다이버
케이브 다이버
(영역 3)
케이브 다이버 III케이브 다이버 레벨 2케이브 다이버, 레벨 3 및 케이브 익스플로러, 레벨 4풀 케이브 다이버케이브 다이버 레벨 II케이브 다이버풀 케이브
케이브 다이버
(58m)
케이브 2 + TEK 1케이브 익스플로러 레벨 5
케이브 다이빙 가이드케이브 가이드 (기술 지원 리더)
케이브 다이빙 강사 1케이브 다이빙 강사 I케이브 강사 레벨 1조교 강사 (ASI)케이번 강사조교 강사강사전문 강사
케이브 다이빙 강사 2케이브 다이빙 강사 II케이브 강사 레벨 2오픈워터 강사 (OWI)케이브 강사강사강사
케이브 다이빙 강사 3케이브 다이빙 강사 III케이브 강사 레벨 3



프랑스에서는 FFESSM(프랑스 수중 스포츠 연맹)의 전국 동굴 다이빙 위원회가 주관하는 과정이 레벨 2 자격증 이상 소지자에게 제공된다. FFS(프랑스 동굴학 연맹)의 프랑스 동굴 다이빙 스쿨도 모든 자율 다이버에게 개방된 과정을 제공한다.

8. 장비

동굴 다이빙에는 표준적인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장비 외에도 특별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동굴 다이빙의 필수적인 절차는 가이드 라인을 이용한 항법이다. 가이드 라인은 영구적일 수도 있고, 잠수 중에 동굴 릴을 사용하여 설치 및 회수할 수도 있다. 영구적인 분기 라인은 분기 라인의 시작과 메인 라인의 가장 가까운 지점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라인을 동굴 라인이라고 한다.


  • 라인 설치: 다이버에게 걸리지 않도록 라인을 약간의 장력을 가하면서 진행 방향으로 풀고, 배치 사이에 직선으로 놓이도록 한다. 모든 라인을 볼 수 있고 닿을 수 있도록, 시야가 좋든 나쁘든 따라갈 수 있도록 라인을 배치하고, 라인 트랩을 피하며, 라인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장소에 충분히 고정한다.
  • 배치 만들기: 가이드라인이 설치되는 동안 고정하고, 주요 및 보조 고정 장치를 선택한다.
  • 임시 라인: 영구 라인이 없는 동굴의 일부로 들어갈 때 설치하고 나올 때 릴로 회수하는 라인이다.
  • 영구 라인: 더 두껍고 잘 보이며, 더 강하고 마모에 강하며, 안전하게 고정되어 다른 다이버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라인이다. 라인이 끊어졌을 때 다른 쪽 끝을 찾고 재연결하기 쉽도록 짧은 간격으로 배치에 고정될 수 있다. 출구 시에는 회수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밝은 노란색의 내구성이 뛰어난 영구 가이드 라인은 케르만틀 구조로 출구로 이어진다.
  • 라인 표시: 영구 라인은 가장 가까운 출구 방향을 나타내고, 다이빙 팀이 지나갔지만 아직 돌아오지 않은 곳을 표시하기 위해 라인 마커에 라인을 고리로 만든다.
  • 방향 마커: 라인을 따라 출구로 가는 길을 표시하는 동굴 화살표.
  • 개인 마커 (쿠키): 다이버가 특정 지점을 지났지만 아직 돌아오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임시 마커.
  • 라인 따라가기: 특히 어둠 속과 시야가 좋지 않은 곳에서 라인을 안내로 사용하여 동굴 밖으로 나가는 기술.
  • 라인 찾기: 가이드 라인을 잃어버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절차가 있지만, 라인을 잃어버릴 수 있으며, 라인 없이 길을 찾을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간주된다.
  • 라인 파손 수리: 시야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매듭을 묶을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 지선으로 점프하기: 풀리지 않을 가능성이 적지만 귀환 시 신속하게 풀 수 있는 방식으로 영구 라인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 임시 라인 회수: 출구 시 마지막 다이버가 수행하여 다른 다이버들이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도 라인을 잃을 위험 없이 동굴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갭 스풀은 비교적 짧은 라인으로 점프를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라인 화살표는 가장 가까운 출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쿠키는 다이버 팀의 라인 사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실트 스크류는 한쪽 끝이 날카롭고 다른 쪽 끝에 라인을 고정하는 노치 또는 슬롯이 있는 짧은 강성 튜브(일반적으로 플라스틱)로, 적절한 자연적인 고정 지점이 없는 경우 가이드라인을 묶을 수 있는 곳으로 동굴 바닥의 실트나 잔해에 밀어넣는다.

8. 1. 주요 장비

동굴 다이빙에 사용되는 장비는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장비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하다. 좁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더 깊고 오랜 시간 동안 잠수하며, 어둡고 복잡한 동굴 속에서 안전하게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장비들이 필요하다.

동굴 다이빙에서 자주 사용되는 스쿠버 장비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독립형 또는 매니폴드 이중 실린더 장비
  • 사이드 마운트 하네스
  • 슬링 실린더
  • 리브리더
  • 백플레이트 및 윙 하네스


빌 스톤은 멕시코의 산 아구스틴과 시스테마 우아우틀라 동굴 탐험 시, 건조 구간과 수직 통로에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에폭시 복합재 탱크를 설계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스테이지 실린더는 잠수의 특정 구간에서 사용할 공기를 제공하는 실린더이다. 사전에 가이드라인을 따라 바닥에 배치하여 주 잠수 중에 사용하거나, 다이버가 직접 휴대하여 잠수 중 라인에 놓고 나올 때 회수할 수 있다.

동굴 다이빙의 위험 중 하나는 길을 잃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라인을 사용한다. 가이드 라인은 영구적으로 설치하거나, 잠수 중 동굴 릴을 사용하여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다. 영구적인 분기 라인은 분기 라인의 시작과 메인 라인의 가장 가까운 지점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라인을 동굴 라인이라고 한다. 갭 스풀은 비교적 짧은 라인으로, 점프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라인 화살표는 가장 가까운 출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쿠키는 다이버 팀의 라인 사용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실트 스크류는 한쪽 끝이 뾰족하고 다른 쪽 끝에 라인을 고정하는 홈이나 슬롯이 있는 짧은 튜브(주로 플라스틱)이다. 자연적인 고정 지점이 없을 때, 동굴 바닥의 실트나 잔해에 밀어 넣어 가이드라인을 묶는 용도로 사용된다.

급류 카약 등 수상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간단한 플라스틱 헬멧은 동굴 천장이나 종유석과의 충돌 시 머리를 보호하는 데 유용하다.

다이버 추진 장치 (DPV) 또는 스쿠터는 다이버의 작업량을 줄이고 동굴의 개방된 구간에서 더 빠르게 이동하여 탐험 범위를 넓히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DPV의 고장은 다이버가 가스가 떨어지기 전에 동굴에서 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위험이 큰 경우, 예비 스쿠터를 함께 가져가기도 한다.

다이브 라이트는 어두운 동굴 내부에서 매우 중요한 안전 장비이다. 각 다이버는 보통 주 라이트와 최소 하나의 백업 라이트를 휴대한다. 최소 세 개의 라이트를 휴대하는 것이 좋다. 주 라이트는 계획된 잠수 시간 동안 작동해야 하며, 각 백업 라이트도 마찬가지이다.

테크니컬 다이빙에서는 장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특히, 문제가 발생했을 때 교체 가능성과 내구성이 중요하다.

  • 매니폴드 더블탱크나 사이드마운트 등 이중 호흡 시스템
  • 백플레이트, 하네스 및 블래더를 이용한 부력 조절 장치
  • 캐니스터 라이트를 이용한 장시간 조명 장치 및 비상시 백업 조명
  • 릴, 스풀, 라인 에로우, 쿠키
  • 폭이 넓고 짧은 핀 (스쿠버 프로 제트 핀 등)


이러한 장비들은 환경과 목적에 맞춰 구성을 변경하여 사용한다.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사이드마운트 장비를 착용한 다이버


동굴 잠수 가이드라인 릴


볼트 스냅이 달린 동굴용 라인 스풀


케이브 다이빙용 백마운트

8. 2. 기타 장비

동굴 잠수에는 표준적인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구성부터 더 복잡한 배치까지 다양한 장비가 사용된다.

개방 수역 잠수보다 동굴 잠수에서 더 자주 발견되는 스쿠버 구성에는 독립형 또는 매니폴드 이중 실린더 장비, 사이드 마운트 하네스, 슬링 실린더, 리브리더, 백플레이트 및 윙 하네스가 포함된다. 빌 스톤은 멕시코의 산 아구스틴과 시스테마 우아우틀라 동굴 탐험을 위해 건조 구간과 수직 통로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에폭시 복합재 탱크를 설계하고 사용했다.

급류 카약 등 수상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간단한 플라스틱 헬멧은 동굴 천장이나 종유석과의 우발적인 접촉 시 좋은 보호 장치가 된다.

다이버 추진 장치(DPV)는 다이버의 작업 부하를 줄이고 동굴의 개방 구간에서 더 빠른 이동을 허용하여 범위를 확장하는 데 때때로 사용된다. 다이버 추진 장치의 신뢰성은 매우 중요하며, 고장 시 다이버가 가스가 떨어지기 전에 동굴에서 나올 수 있는 능력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이 큰 경우, 다이버는 예비 스쿠터를 견인할 수 있다.

9. 역사

동굴 다이빙은 1920년대 몽테스팽 동굴 (Montespan cave)에서 노르베르 카스테레(Norbert Casteret)가 자유 잠수(freedive)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1940년대 자크-이브 쿠스토 (Jacques-Yves Cousteau)가 스쿠바 장비를 공동 발명하면서, 스쿠바를 이용한 동굴 다이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쿠스토 이전에는 에어 호스와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표면 공급 호흡 장치를 통해 동굴에 진입하기도 했다.

영국과 미국(주로 플로리다)은 서로 다른 동굴 다이빙 환경으로 인해 기술과 장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국의 동굴 다이빙 그룹(CDG)은 1935년 침수된 동굴 탐험을 위한 훈련과 장비를 조직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1936년 잭 셰퍼드는 직접 제작한 드라이슈트를 입고 스윌던스 홀의 섬프 1을 통과했다. 초기에는 표준 다이빙 장비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잉여 장비가 풀리면서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1960년대에는 웻슈트, 개방 회로 스쿠바, 사이드 마운팅 실린더, 헬멧 장착 조명, 지느러미를 사용한 자유 수영 기술이 등장했다.

1935년 우키홀 동굴 박물관의 동굴 다이빙 장비


우키홀 동굴 박물관의 동굴 다이빙 장비


스쿠버 다이빙이 개발된 후, 동굴 다이빙의 가능성이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1953년, 리옹 라 베르나 클랜(Letrone, Eppely, Ballandraux)의 스카우트들은 생탕그라스(Sola)의 라미나 질루아(Lamina Zilua) 용천을 탐험하여 세 개의 사이펀을 통과했지만 네 번째 사이펀에서 좁은 입구 때문에 멈췄다.

9. 1. 주요 역사적 사건

초기 동굴 다이빙 중 하나는 1922년 프랑스의 몽테스팽 동굴 (Montespan cave)에서 노르베르 카스테레(Norbert Casteret)가 자유 잠수(freedive)한 것이었다.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개방 회로 스쿠바 장비의 공동 발명가인 자크-이브 쿠스토 (Jacques-Yves Cousteau)는 세계 최초의 개방 회로 스쿠바 동굴 다이버였다. 많은 동굴 다이버들은 스쿠바가 등장하기 전에 에어 호스와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표면 공급 호흡 장치를 통해 동굴에 진입했다.

1970년대 미국에서는 동굴 다이빙의 인기가 급증했지만, 숙련된 동굴 다이버는 매우 적었고 공식적인 교육 과정은 거의 없었다. 그 결과 많은 다이버들이 공식적인 훈련 없이 동굴 다이빙을 시도하게 되었고, 10년 동안 100건이 넘는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플로리다주는 동굴 입구 주변에서 스쿠바 다이빙을 금지할 뻔했다. 동굴 다이빙 단체들은 이러한 사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훈련 프로그램을 만들고 강사를 자격 인증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미국에서 셰크 엑슬리(Sheck Exley)는 플로리다주와 미국 전역, 그리고 전 세계의 많은 수중 동굴 시스템을 처음으로 탐험한 선구적인 동굴 다이버였다. 1974년 2월 6일, 엑슬리는 미국 동굴학회(National Speleological Society)의 동굴 다이빙 부문 초대 의장이 되었다.

1980년대 이후 동굴 다이빙 교육은 다이버 사망률을 크게 줄였으며, 1980년대에는 동굴 다이빙에 사용되는 장비, 특히 더 작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더 나은 조명 장비가 개선되었다. 1990년대에는 윌리엄 호가스 메인(William Hogarth Main)이 개발한 "호가스식 장비(Hogarthian rig)"의 채택과 대중화로 인해 동굴 다이빙 장비 구성이 더욱 표준화되었다.

오늘날 동굴 다이빙 공동체는 훈련, 탐험, 대중 인식 제고 및 동굴 보존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다.

웨슬리 C. 스카일스(Wesley C. Skiles)와 질 하이너스(Jill Heinerth)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는 21세기 초 동굴 다이빙의 인기 증가에 기여했다.

주요 역사적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46년CDG 설립
1950년대동굴 탐험가와 보물 사냥꾼에 의한 잠수
1968년NACD 설립
1972년CDAA 설립. NSS의 동굴 잠수 부문 NSS-CDS 신설. NAUI의 Tec 부문 신설
1985년IAND(현 IANTD) 설립
1987년PSA 설립
1991년ANDI 설립
1993년잡지에서 케이브 등에 혼합 기체 잠수를 도입한 분야를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소개.
1994년TDI 설립
1996년DiveRite-Japan 설립
1997년TDI, IANTD, ANDI 각 일본 지부 설립
1998년GUE 설립
2004년Halcyon-Japan 설립


10. 한국의 동굴 다이빙

한국은 예로부터 동굴 신앙이 있어 주요 동굴은 신사와 함께 신체(御神體)로 받들어지는 경우가 많아, 동굴 진입에 여러 관련 단체의 허가가 필요하다. 일반 케이브 다이버가 잠수할 수 있는 곳은 주로 해중 동굴(해저 동굴)로 제한되며, 그중 일부는 지방 자치 단체의 관리하에서만 잠수가 허용된다. 한국의 동굴 다이빙은 해중 동굴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독특한 수중 환경과 생태계를 탐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1. 탐험, 조사 및 지도 제작

숙련되고 열정적인 동굴 다이버들에게 동굴 잠수의 중요한 측면은 탐험, 측량 및 지도 제작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종종 공유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이러한 측량의 효율성을 높이고 정보를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중 동굴 지도 제작은 GPS 위치를 얻기 위한 지표면 접근이 불가능하고, 시야가 짧은 어둠, 그리고 제한된 시야로 인해 광학 측정이 복잡하다. 고도/수심은 상대적으로 간단한데, 다이버들은 감압 컴퓨터 형태로 정확한 수심 측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압 컴퓨터는 상당한 정확도로 수심/시간 기록을 기록하며, 언제든지 즉시 판독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심은 지표면의 고도를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수직 차원은 직접 측정하거나 수심 차이로 계산할 수 있다.

지표면 좌표는 GPS와 원격 감지로 수집할 수 있으며, 입구의 종류에 따라 정밀도와 정확도가 다양하다. 일부 동굴에서는 수면이 GPS 위성의 시야에 있지만, 다른 동굴에서는 가장 가까운 야외로부터 복잡한 경로를 따라 상당한 거리에 있다.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수집된 측정값을 처리하여 다양한 정확도와 세부 정보를 가진 3차원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은 가상 현실 모델에 사용될 수 있다. 수중 동굴의 측량 및 지도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두 명 또는 세 명의 스쿠버 다이버로 구성된 다이빙 팀이 거리, 나침반 방향 및 수심을 직접 측정하고 추측 항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영구적인 가이드 라인을 기준선으로 사용하여 동굴 선의 방위각과 선을 따라 간격을 두고 높이, 너비, 깊이 및 경사의 측정값을 기록하고, 관심 있는 특징과 물체의 사진 기록을 촬영한다. 데이터는 디지털 사진으로 수집된다. 휴대용 소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거리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깊이 또는 기타 제약으로 인해 다이버가 직접 탐험할 수 없는 경우, 소나 기술을 사용하여 주변 환경을 스캔하고 지도를 작성하고 비디오로 모양을 기록하는 원격 조종 수중 차량(ROUV)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왔다.

관심 있는 특징, 인공물, 유적 및 기타 물체는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진으로 현장에서 기록된다.

12. 관련 단체

오스트레일리아 동굴 다이버 협회(Cave Divers Association of Australia, CDAA)는 1973년에 설립되었으며, 주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남동부(현재 석회암 해안(Limestone Coast))의 물이 찬 동굴과 싱크홀에서 다이빙을 하는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다이버(Recreational diving)들의 이익을 대변한다.[1] CDAA는 1970년대 중반에 도입된 지역 등급 시스템과 관련 테스트 시스템을 통해 사망자 수를 줄이는데 기여했다.[1] 주요 활동 지역은 석회암 해안 지역이지만, 널러보 평원(Nullarbor Plain)과 뉴사우스웨일스주 웰링턴(Wellington, New South Wales)을 포함한 오스트레일리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동굴 다이빙 활동을 관리하고 지원한다.[1]

케이브 다이빙 그룹(Cave Diving Group)(CDG)은 영국에 기반을 둔 다이버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그레이엄 발컴(Graham Balcombe)에 의해 설립되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다이빙 클럽이 되었다.[2]

미국 케이브 다이빙 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Cave Diving, NACD)는 1968년에 설립된 비영리 법인으로, 교육 및 다이버 훈련을 통해 동굴 스쿠버 다이빙의 안전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3] NACD는 케이번 및 동굴 다이빙, 강사 과정에 대한 훈련과 자격 인증을 제공하며, 안전한 케이번 및 동굴 다이버가 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3]

미국 동굴학회(NSS)는 1941년에 설립된 단체로, 미국의 동굴 탐험, 보존, 연구 및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4] 1974년부터 동굴 다이빙 섹션이 운영되고 있다.[4]

킨타나로오 동굴 탐사단(QRSS)은 1990년에 설립되어 국립 동굴학회(National Speleological Society)의 지원을 받아 멕시코 킨타나로오주의 수중 및 건조 동굴세노테의 안전한 탐사, 조사 및 지도 제작을 담당한다.[5]

우드빌 카르스트 평원 프로젝트(WKPP)는 미국 플로리다주 우드빌 카르스트 평원(Woodville Karst Plain) 지하의 수중 동굴 시스템을 조사하는 프로젝트이자 단체이다. 1985년에 설립되고 1990년에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다음은 동굴 다이빙 관련 단체의 설립 연도를 나타낸 표이다.

단체명설립 연도
CDG1946년
NSS1941년
NACD1968년
CDAA1973년
NSS-CDS1974년
우드빌 카르스트 평원 프로젝트(WKPP)1985년 (1990년 법인 설립)
킨타나로오 동굴 탐사단(QRSS)1990년


13. 동굴 다이빙 지역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동굴 다이빙 장소를 찾을 수 있다. 남극 대륙에서는 평균 기온이 너무 낮아 동굴 속 물이 액체 상태로 유지될 수 없다.


  • 아프리카: 알려지고 접근 가능한 침수된 동굴이 거의 없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미비아, 짐바브웨, 마다가스카르에 일부 동굴들이 있다.
  • 아시아: 특히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카르스트 지대에는 많은 수의 침수된 동굴이 있다.
  • 호주: 많은 수중 동굴과 싱크홀이 있으며, 그중 많은 수가 남호주주 마운트 갬비어 지역에 있다.
  • 유럽: 특히 카르스트 지대에 많은 수의 침수된 동굴이 있다.
  • 북미: 특히 미국 플로리다주와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많은 동굴 다이빙 장소가 있다.
  • 남미: 브라질에 몇몇 동굴 다이빙 장소가 있다.
  • 바하마 제도: 군도 전역에 걸쳐 많은 수중 동굴과 블루홀이 있다.

14. 용어

레크리에이션 동굴 다이빙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관 및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용어정의
동굴(Cave)입구가 있고, 그 일부가 직접적인 자연광이 도달하지 않는 지구상의 공동 또는 방으로,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일부 정의에서는 지질학적 과정에 의해 생성된 자연 공동으로 명시한다.
케이번(Cavern)동굴의 한 종류로 지구상에 있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방의 시스템으로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일부 당국에서는 동굴과 케이번을 구분하지 않는다.
동굴 다이빙(Cave diving)다이빙 중 어느 지점에서도 자연 조명으로 열린 물의 출구(대기와 접촉하는 표면)가 항상 보이지 않거나, 다이버가 언제든지 대기와 접촉하는 자유 수면으로 가는 직접적인 접근 가능한 경로가 임의로 지정된 거리(일반적으로 약 39.62m이지만 60m로도 언급됨)보다 더 먼 동굴, 케이번, 또는 광산에서의 다이빙.
케이번 다이빙(Cavern diving)다이빙 중 어느 지점에서도 자연 조명으로 열린 물의 출구(대기와 접촉하는 표면)가 항상 보이거나, 다이버가 언제든지 대기와 접촉하는 자유 수면으로 가는 직접적인 접근 가능한 경로가 임의로 지정된 거리(일반적으로 약 39.62m이지만 60m로도 언급됨)보다 짧은 동굴, 케이번, 또는 광산에서의 다이빙.



동굴 다이빙 경로는 지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정의
선형다이버들이 들어온 경로와 같은 경로로 돌아오는 다이빙 경로.
순환다이버들이 들어온 경로와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다른 경로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출구로도 사용하는 다이빙 경로.
횡단다이버들이 하나의 입구에서 다른 출구로 동굴을 통과하는 다이빙 경로.
단순순환 또는 횡단을 설명할 때 "단순"이란 다이버들이 호흡용 가스 공급량의 임계 압력(일반적으로 초기 압력의 3분의 2 또는 다이빙 계획에 따라 계산된 압력)에 도달하기 전에 전체 경로를 완료할 수 있음을 의미. 따라서 언제든지 안전하게 다이빙을 돌리고 원래 경로를 따라 시작점으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함.
복잡순환 또는 횡단을 설명할 때 "복잡"이란 다이버들이 호흡용 가스 공급량의 임계 압력에 도달하기 전에 전체 경로를 완료할 수 없음을 의미.



수류 방향에 따라 침수된 동굴 지역을 설명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용어정의
소스(Source)다이버들이 다이빙에 사용하는 입구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동굴.
싱크(Sink)다이버들이 다이빙에 사용하는 입구로 물이 흘러 들어가는 동굴.
섬프(Sump)동굴의 국부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한 물로 채워진 통로.



동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정의
풍성동굴바람의 침식으로 형성된 동굴.
산호동굴산호초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석회질 산호의 성장으로 생성.
침수 광산침수된 광산 및 사람과 그들의 기계가 굴착한 다른 지하 공간.
용암 동굴화산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동굴.
해식 동굴해안 지역 해변을 따라 형성된 동굴.
용식 동굴오랜 기간 동안 지하수가 암석을 용해하여 형성된 동굴.
탈루스 동굴암석 낙하로 형성된 동굴.


참조

[1] 웹사이트 Become a Certified Technical Diver https://www.tdisdi.c[...] 2019-11-30
[2] 웹사이트 Xavier Meniscus stabilisce il nuovo straordinario record mondiale di immersione in grotta alla Font Estramar : -312,10 mètres https://www.scintile[...] 2024-01-07
[3] 웹사이트 Font Estramar – New cave diving depth record: 1010 ft! http://www.blog.fran[...] 2023-11-16
[4] 웹사이트 P.-O. : Xavier Méniscus bat le record du monde plongée souterraine à - 286 m https://www.midilibr[...] 2020-01-02
[5] 웹사이트 World Record Cave Dive http://www.karstworl[...] 2021-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